심장 돌연사 유발 “협심증” 이란?

전희경성모하트내과의원경기도 의정부시 천보로 257 2층

 

우리 신체에서 중요하지 않은 부위는 없는데 그중 한곳을 꼽아보면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심장은 온 신체에 혈액을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산소와 영양소도 전달해주는데요. 심근이 체내 혈류를 순환시키기 위해선 심근으로 지속적인 산소 공급을 유지해줘야 합니다.
또한 심장 주변에는 관상동맥이라고 하는 혈관이 위치해있습니다.
관상동맥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일을 해주는데요. 협심증이 발병하는 원인에 대해서 잘 인지해두시고 증상은 어떤지 확인 후 증상이 의심되는 즉시 내원해야 합니다.
협심증에 대해

심장에 영양공급을 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지게 되면 심장근육에 필요한 혈액, 산소를 충분하게 공급을 받지 못할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
해당 질환이 발병할 경우 대표적으로 흉부 압박감이 생기고 가슴을 조이는듯한 느낌과 함께 쥐어짜는듯한 통증과 불안감을 느낍니다.
더불어 가슴뿐만이 아니라 목과 턱, 어깨, 팔 등 다양한 부위에 통증이 뻗어나갑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왼쪽 어깨와 팔 안쪽까지 통증이 느껴질 수 있고 주로 운동 시 발생하며 가슴을 쥐어짜는듯한 통증이 이어지며 호흡곤란 증상이 생기면 협심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협심증 주요 원인

협착으로 인해서 관상동맥이 70% 이상 막히면 관상동맥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서 협심증이 생길 수 있고 안정형, 불안정형 이형성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먼저 안정형은 일반적 상태로 일상생활 중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숨이 차도록 격한 운동 시, 정신적으로 흥분 상태일 경우 발현 가능하고 이밖에도 감염, 염증 질환에 의해서도 나타나고 주로 5분 내외로 지속되다가 자연스레 사라집니다.
불안정형의 경우 작은 활동에 의해서도 발작을 일으키고 이전보다 발작이 자주 일어날 경우 의심해야 하고 이형성은 휴식 중 갑자기 나타나며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경련을 일으킵니다.
협심증 관리법

심하지 않은 협심증이라고 진단을 받을 경우 일상에서 치유할 수 있게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이와 함께 약물요법을 진행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심신을 안정시키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유산소 운동 및 저지방 식단을 유지해야 하고 약물요법이 필요할 경우 심장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는 약을 사용해서 증상을 가라앉혀야 하며 갑자기 발작을 할 거슬 대비하기 위해 증상이 생기기 전 약물을 복용합니다.
개인에 따라 약물 종류와 양이 다릅니다.
대동맥, 관상동맥 사이를 연결해서 혈액 흐름이 협착 부위를 우회하여 들어가도록 수술을 할 수 있고 협착 부위를 우회해서 흘러 들어가도록 수술을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