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 연평도 페리, 인천 바다 서해섬 여행

연평도는 소연평도, 대연평도를 말하지만 일반적으로 대연평도를 말한다.
인천에서 145km 떨어져 있어 서해안 섬 중 백령도(178km)를 제외하면 가장 멀다.
북한의 부포리에서 10㎞ 떨어져 있지만, 가장 가까운 북한 섬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면 북한의 석도는 4㎞, 갈도는 4.5㎞ 떨어져 있다.
거리가 멀다.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 인천광역시 중구 연안부두로 70

연평도는 인천 바다 수평선에 둥둥 떠 있는 모습이 연평도라고 붙여졌다고 한다.
연평해전과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 현재는 섬 전체가 안보체험장으로 인식되어 평화여행이나 안보관광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섬 섬을 여행하려면 방문하고 싶은 섬의 홈페이지에 접속해 예약하는 것이 편리하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편리하지만, 번거롭다고 생각하시거나 앞으로 서해섬 여행을 하지 않으실 생각이시면 회원가입 없이 예약하셔도 됩니다.
https://island.haewoon.co.kr/

가보고 싶은 섬(여객선 예약)여객선 예약, 섬 여행, 바다 여행, 페리 시간표, 터미널, 여객선 이용 등의 정보를 제공 island.haewoon.co.kr

방문하고 싶은 섬의 홈페이지 첫 화면입니다.
다양한 팝업창이 나타나니 확인하시고, 해당사항이 없으면 모두 닫아주세요.

첫 화면에서는 연평도가 보이지 않습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원으로 표시된 1번 항목의 인천 지역을 클릭하시면 주요 도서 목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때, 대연평도를 뜻하는 ‘대연평’ 예약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팝업창이 나타나면 날짜 선택 버튼을 눌러 날짜를 입력하세요.

왼쪽 달력은 출국일자를 선택하는 달력이고, 오른쪽 달력은 돌아오는 여행일자를 선택하는 달력입니다.
선택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이전 창으로 돌아가며 원하는 날짜가 표시됩니다.

계속되는 여정의 출발시간을 확인하시고, 일정에 맞게 선택하시면 노란색으로 표시됩니다.
출국 및 귀국 일정을 모두 선택하세요. 그런 다음 승객 정보를 입력하세요. 이때, 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확인 후 비상연락처 전화번호 입력, 좌석 선택, 페리 정보(출발일/시간/출발/도착/선박명/여행시간/승객정보) 선택 후 결제정보 입력 (개인카드 / 법인카드) 다음단계 클릭 후 결제 ● 인천바다 서해섬 여행을 시작하기 위해 08시 출발 첫 번째 배를 선택했기 때문에 약 1시간 10분쯤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 도착했습니다.
몇분 전에. 지금까지 연평도행 여객선을 포함해 서해안 섬으로 여행을 떠나는 사람을 많이 본 적이 없다.
카운터 직원도 보이지 않습니다.
오늘은 몇 명과 함께 인천 앞바다 서해섬으로 여행을 떠나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허전한 느낌이 듭니다.
카운터를 거치지 않고 무인 발권기를 이용해 탑승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카운터가 열려 있는 경우에만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만일을 대비해 진행하려고 했으나, 창구에 연락하라는 메시지만 보였습니다.
그리고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신분증이 없는 경우, 터미널 내 주민등록증 발급기를 이용하여 사본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발급기는 터미널 창구를 바라보며 오른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일찍 출발해야 ​​해서 아침을 건너뛰었습니다.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 식당에서 가락국수 한 그릇을 주문했습니다.
국물을 더 달라고 할까 잠시 고민하다가 포기하고 아침을 먹기 시작했다.
드디어 탑승이 시작됩니다.
배는 서해안의 섬인 연평도에 천천히 접근한다.
이름은 거창하다.
코리아 킹. 연평도-인천 간을 오간다고 표시된 표지판 아래의 문으로 들어갑니다.
군인들을 본다고 해서 움츠러들 필요는 없습니다.
연평도는 안보의식이 강한 서해의 섬으로, 직업군인과 군 복무 중인 청년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3명 중 2명은 남자다.
안으로 들어서자마자 커다란 짐이 놓여 있는 선반이 보이지만, 대부분은 함부로 방치되어 있는 것 같다.
아무래도 쾌속정이라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묶거나 고정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다.
그리고 개인 짐을 기내로 가져가시면 됩니다.
1층 캐빈으로 들어갑니다.
바로 앞에 매표소가 보입니다.
스낵, 음료, 커피 등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선미부분은 강화유리로 되어 있어 인천바다의 외관을 볼 수 있습니다.
파도가 심할 때는 중앙 뒷좌석이 더 편하다고 해서 배멀미를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2층 캐빈으로 올라갑니다.
1층 캐빈과 비슷하고 크기가 조금 더 작다고 생각하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구름이 너무 많아서 해가 뜨는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없다는 게 아쉽네요. 하지만 구름 아래로 붉게 물들어가는 인천 바다 지평선의 풍경을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두 시간 뒤 우리는 서해안의 섬인 연평도에 도착했다.
서해안의 섬인 연평도까지 나룻배를 타고 가는 이야기의 도착편은 여기까지입니다.
대연평항 당섬부두에 도착하여 본격적인 서해섬 여행을 시작합니다.
방파제 밖에는 네발동물과 용의 이빨이 있고, 해변에는 갈매기가 먹이를 먹고 있는 듯하다.
자세히 보니 용치가 무슨 생각을 했는지 보니 닻이 아닐까 싶다.
사용되지 않는 닻과 잠자리는 분명 용도도 다르고 모양도 다르지만, 멀리서 보면 꽤 비슷해 보였습니다.
그리고 그 너머에는 독특한 해안 바위들이 있습니다.
이 공간이 유지되고 관광지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통일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서해섬 여행은 처음은 아니지만, 오랜만에 연평도 서해안 섬을 방문했지만, 묘한 설렘이 느껴진다.
이번 여행은 즐겁고 유쾌한 여행보다는 안보와 평화를 주제로 하는 여행인 만큼 조금은 차분하게 진행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조국과 민족을 위해 애쓰실 장병들과 그 가족들의 안전과 건강을 기원합니다… ● 인천해 서해군도 여행을 마치고 마무리합니다.
연평도 여행을 마치고 연평바다역 앞 대연평항으로 돌아왔습니다.
아마 많은 차량들이 사람을 타고 인천으로 가는 것 같아요. 이곳의 차량은 여행자보다는 군인이나 지역 주민이 더 많이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연평도에 들어갈 때 보지 못했던 연평바다역 안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그랜드연평항 대기실 이름은 연평바다역 입니다.
역이라고 부르는 게 더 친근할까요? 비가 오고 바람이 많이 불면 대기실에 있으면 더 좋겠지만 지금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사람이 없을 것 같아서 다시 밖으로 나갑니다.
그리고 이제 출발할 시간입니다.
보안의 섬답게 역시 군인들이 많이 보입니다.
군인들과 함께 민간인들도 고려왕에 탑승한다.
이제부터 오른쪽으로 인천해를 건너 구럽도, 백카도, 문갑도, 성갑도, 덕적도, 자월도 등 서해안 섬들을 지나 왼쪽으로 실미도, 무의, 영종도를 지나 인천대교를 통과한다.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로 진입하게 됩니다.
물 위에 한가롭게 떠 있는 페리나 크루즈가 아닌 이상 갑판에는 나갈 수 없으니, 왕복하는 길에 부족한 잠을 보충하는 것이 몸에 대한 예의일까요? 서해섬 여행을 시작하면서 도착할 때까지 계속 잠을 잤다.
현재 시간은 17:28:42 입니다.
그리 늦은 시간은 아니지만 꽤 늦은 것 같습니다.
이로써 인천 바다 건너 서해 연평도 여행이 마무리됐다.
어쩌면 짧은 여행이라 더욱 아쉬웠을지도 모르겠습니다.